바람부는 날, 마음으로 쓴 편지를 읽다 - LG케미토피아
검색창 닫기

        해시태그 닫기

        게시물 관련 배경이미지
        People

        바람부는 날, 마음으로 쓴 편지를 읽다

        2014. 09. 30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 누구라도 그대가 되어 받아주세요~ ♪

        가을은 흔히 독서의 계절이라 하지만 한 시인이 노래한 것처럼 편지의 계절이기도 합니다. 여러분은 편지 자주 쓰시나요? 전화와 인터넷이 발달한 요즘은 자필로 손수 편지를 쓰기가 쉽지 않은데요. 과거에는 안부를 전하기 위해, 사랑을 전하기 위해 편지를 많이 썼죠.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의 사상이 바다 건너 인도로 건너갈 수 있었던 배경에는 편지의 힘이 컸습니다.

        젊은 변호사였던 간디가 톨스토이에게 편지를 보냈고 톨스토이가 죽기 직전까지 두 사람이 서신을 교환한 것은 이미 유명한 일화죠. 이 외에도 서간문학으로 불릴 만큼 편지형식의 서간문을 엮은 책들을 서점에서 만나볼 수 있는데요. LG케미토피아가 올 가을, 편지 형식이라 더 술술 읽히는 서간집을 소개합니다.


        동생 테오에게 마음을 전했던 <반 고흐, 영혼의 편지>

        “너의 짐이 조금이라도 가벼워지기를, 될 수 있으면 아주 많이 가벼워지기를 바란다. 아무리 생각해도 나에겐 우리가 써버린 돈을 다시 벌 수 있는 다른 수단이 전혀 없다. 그림이 팔리지 않는걸……. 그러나 언젠가는 내 그림이 물감값과 생활비보다 더 많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걸 다른 사람도 알게 될 날이 올 것이다. 지금 원하는 건 빚을 지지 않는 것이다.
        사랑하는 동생아, 너에게 진 빚이 너무 많아서 그걸 모두 갚으려면 내 전 생애가 그림 그리는 노력으로 일관되어야 하고, 생의 마지막에는 진정으로 살아본 적이 없다는 느낌을 받게 될 것 같다. 그러나 그런 건 문제가 아니다. 유일한 문제는 그림 그리는 일이 점점 더 어려워질지 모른다는 생각, 그리고 늘 이렇게 많이 그리지 못할 거라는 사실이다. ……
        언젠가 내 그림이 팔릴 날이 오리라는 건 확신하지만, 그때까지는 너에게 기대서 아무런 수입도 없이 돈을 쓰기만 하겠지. 가끔씩 그런 생각을 하면 우울해진다.”
        가을 서간집, 반 고흐-영혼의 편지

        @wikimedia.org

        지금은 반 고흐라고 하면 모르는 이가 없지만 그가 살아있던 시절엔 이름도 그림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자살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반 고흐는 ‘별이 빛나는 밤’, ‘해바라기’, ‘밤의 카페’ 등 불후의 명작을 비롯해 불과 10년 만에 800점 이상의 유화와 700점 이상의 데생을 그렸는데요. 반 고흐가 이처럼 열정적으로 그림에 몰두할 수 있었던 데에는 후원자인 동생 테오의 역할이 컸습니다. 

        반 고흐는 단순한 후원자 이상의 정신적인 공명판과도 같았던 동생과 무려 668통의 편지를 주고 받았습니다. 그 편지를 엮은 책이 훗날 두 권으로 출판되었는데, 당시 반 고흐의 가난했던 생활과 고민, 그러면서도 언젠가 자신의 그림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으리라는 확신을 엿볼 수 있습니다. 반 고흐의 그림을 좋아한다면 글로 그의 내면을 만날 수 있는 반 고흐의 서간문도 놓치지 마세요.

        이들처럼 사랑할 수 있을까? <D에게 보낸 편지>

        “당신은 곧 여든두 살이 됩니다. 키는 예전보다 6센티미터 줄었고, 몸무게는 겨우 45킬로그램입니다. 그래도 당신은 여전히 탐스럽고 우아하고 아름답습니다. 함께 살아온 지 쉰여덟 해가 되었지만, 그 어느 때보다도 더,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내 가슴 깊은 곳에 다시금 애타는 빈자리가 생겼습니다. 내 몸을 꼭 안아줄 당신 몸의 온기만이 채울 수 있는 자리입니다.”
        가을 서간집, 앙드레 고르-D에게 보낸 편지

        사진 출처: 학고재

        사랑의 계절 가을에 가장 어울리는 서간문이 아닐까 합니다. <D에게 보낸 편지>는 철학자 앙드레 고르가 그의 부인 도린에게 보낸 한 통의 편지를 엮은 책입니다. 한 통의 편지라 하지만 아내를 처음 만났던 순간부터 현재 이르기까지 결혼생활이 얼마나 행복했는지 아내에 대한 감사와 사랑이 빼곡히 담겨있어 90페이지에 이릅니다. 사실 고르는 로잔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화학자였지만 철학자 사르트르를 만나 친분을 나누면서 철학자의 길을 걷고 유럽을 대표하는 정치철학자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사랑하는 아내가 불치병에 걸리자 모든 사회활동을 접고 무려 20년 동안 아내의 곁을 지키며 간병했다고 합니다. 편지는 ‘세상은 텅 비었고, 나는 더 살지 않으려네’라는 의미심장한 말로 끝을 맺는데요. 책이 출간된 1년 뒤, 고르는 아내와 함께 동반자살로 생을 마감합니다. 하지만 누가 이들의 사랑을 벌할 수 있을까요? 평생을 함께 한 노부부의 사랑 편지가 가을을 더욱 촉촉하게 적셔줄 것입니다.

        강직한 선비정신이 깃든 정약용의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시경]에 잇는 모든 시는 충신 효자 열녀 그리고 진실한 벗들의 간절하고 진실한 마음의 발로다. 임금을 사랑하고 나라를 근심하는 내용이 아니면 그런 시는 시가 아니고, 시대를 아파하고 세속을 분개하는 내용이 아니면 시가 될 수 없으며, 아름다운 것을 아름답다 하고 미운 것을 밉다 하며 선을 권장하고 악을 징계하는 뜻이 담기지 않은 시는 시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가을 서간집, 정약용-유배지에서 보낸 편지국내에도 읽어볼 만한 서간문이 많습니다. 조선시대 학자 다산 정약용이 유배지에서 두 아들과 형님, 제자들에게 쓴 편지를 엮은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도 그 중의 하나입니다. 책에는 18년간 유배생활을 하면서 다산이 보낸 총 61편의 편지가 담겨있습니다. 편지를 통해 불의와 조금도 타협하지 않는 다산의 매서운 선비정신을 엿볼 수 있는가 하면 정치, 의술, 농사법, 과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해박한 지식을 가진 당대 최고 실학자로서의 다산도 만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가장 가슴에 와 닿는 것은 선비로서 감정을 절제하면서도 다정한 아버지로서, 속 깊은 동생으로서,  그리고 정이 넘치는 스승으로서의 감정이 고스란히 글에 담겨 있다는 것입니다. 200년 전 참다운 스승의 가르침을 서한으로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시인 마종기와 뮤지션 루시드폴의 대서양을 건넌 교감

        “눈이 많이 내리던 12월의 첫날이었습니다. 약간의 두려움과 기대로 스물두 시간의 비행을 거쳐 도착한 스톡홀름의 첫날 밤엔 피곤함조차 느끼지 못했습니다. 왠지 모르게 우리말과 멀어질 듯한 두려움에 무작정 구겨넣었던 시집들 중에, 처음 펼친 시집이 바로 선생님의 『이슬의 눈』이었지요. 한국을 떠나기 몇 달 전쯤, 작은 클럽에서 공연이 끝난 뒤 어느 착하고 소심한 팬이 저에게 직접 건네주지도 못하고 다른 사람에게 맡겨놓았던 시집이었습니다. 고백하자면 한국에서는 그 시집을 펼쳐보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_루시드폴의 첫번째 편지
        “조군의 첫 메일을 보니 외국에 처음 도착했던 날의 마음 풍경이 새삼 황량하게 그려져 있네요. 그래요. 환경이야 달랐지만 나의 처지 역시 비슷했지요. 나는 1966년 6월 중순에 미국에 도착했어요. 물론 그때는 직항 비행기가 없어 하와이와 로스앤젤레스를 거쳐왔습니다. 아시아 사람이라고는 거의 코빼기도 찾아볼 수 없었던 미국 오하이오 주의 중소도시인 데이턴Dayton이라는 곳이었어요.(……)아마 조군보다는 조금 더 힘들지 않았나 싶네요. 그날 어디가 어디인지도 모르는 그 큰 병원에서 나는 밤새 여섯 환자의 죽음을 겪었습니다.” _마종기의 두번째 편지
        가을 서간집-마종기, 루시드 폴

        사진 출처: 문학동네

        마종기 시인과 가수 루시드폴의 인연은 아주 특별합니다. 36년의 나이 차이에도 세대를 초월한 두 사람의 교감은 대서양을 건넌 편지로 시작되었습니다. 평소 마종기 시인의 시를 마르고 닳도록 읽을 만큼 좋아했다는 루시드폴이 스위스 유학시절 미국에서 거주하는 마종기 시인에게 편지를 보낸 것이 인연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4년을 얼굴도 모른 채 주고 받은 편지가 두 권의 책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올해 두 번째로 출간된 <사이의 거리만큼, 그리운>은 서로에 대해 알아갔던 첫 번째 서간집 보다 한 발 나아가 음악과 문학, 조국과 예술, 관계와 가족, 자연과 여행 등 삶 전체를 아우르는 따뜻하고도 깊은 대회가 담겨 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생판부지 전혀 모르던 두 사람이 매우 닮았다는 점인데요. 마종기 시인은 의과생이던 1959년에 등단한 이후 여러 편의 시집을 내며 왕성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지만  본래 직업은 외과전문의입니다.

        루시드폴 역시 서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뒤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대학원에서 생명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화학자이자 음유시인이라 불리는 훌륭한 싱어송라이터죠. 분야는 다르지만 다재다능한 그들의 뭉클한 교감을 책에서 느낄 수 있답니다. 가을에 편지를 하지 못하셨다면, 그들이 주고 받았던 편지를 읽어보며 가을 정취에 흠뻑 빠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현재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소셜 로그인

        TOP